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니티 개발6

[Unity] 아웃 라인(Outline) 그리고 그림자 (shadow) 만들기 (component + shader 코드) / preserve aspect / cull transparent mesh 안녕하세요 오늘은 유니티로 게임 개발하다가 유용한 정보를 찾게 되어서 작성해보게 되었습니다. 바로 아웃 라인 (outline) 기능과 그림자 (shadow) 기능입니다! 보통 아웃 라인 경우, 무언가를 강조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특히 버튼 등 2D UI 쪽에 많이 적용되는데 기존에는 이런 효과를 만들기 위해서는 unity shader 를 사용했어야 했는데 이 shader 쪽을 활용할려면 유니티 외 언어도 다르고 다르게 공부해야해서 어려웠습니다.  근데 알고보니 유니티 내에서 컴포넌트로 제공하는 것을 이제야 알았다는! 옛날 버전에도 있었는데 왜 진작에 몰랐는지.. 이래는 아는 만큼 고생을 덜 하는 것 같습니다. 저처럼 아웃라인 기능을 사용하고 싶고 쉽게 만들 수 방법을 찾는 사람들을 위해 이 글을 작성해.. 2025. 4. 13.
[Unity] Particle Effect For UGUI 기능 소개 / Particle(파티클) scene에서 보이는데 게임에서 안 보일 때, Particle(파티클)이 알아서 부모를 안 따라올 때 오류 해결 방법 + Particle asset 추천 유니티 FX 작업하다가 찾은 여러 정보 때문에 글을 작성해봅니다.먼저 2D FX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데요. 하는 방법을 찾아보면 보통은 카메라를 2개 만들어서 다루는 방식으로 합니다. 하지만, 그 외에도 좋은 방법이 있습니다. Particle Effect For UGUI API 기능 소개 바로 Particle Effect For UGUI API 입니다.나름 유명해서 개발 좀 해보신 분들은 다들 쓰시는 것 같습니다. 깃허브 링크 : https://github.com/mob-sakai/ParticleEffectForUGUI GitHub - mob-sakai/ParticleEffectForUGUI: Render particle effect in UnityUI(uGUI). Maskable, sortable, a.. 2025. 3. 27.
[Unity/Zepeto] 특정 물체로부터 주변 물체를 찾아나가는 기능(BFS) 만들기 불이 퍼져나가는 현상처럼 주변 물체를 찾아 이벤트를 주는 기능을 구현 간단한 구현 방식 설명 : 물체들의 거리를 통해 그래프를 생성하고 랜덤 값을 통해 특정 물체가 선택되었을 때, 그래프와 BFS 방법을 통해 주변 물체부터 찾아가는 구현 방식 >> 아래 프로젝트는 위 방식을 이용해 화재 재앙을 구현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이 스크립트에 그래프로 생성할 객체들을 다 넣어줍니다. ( 추가로 화재 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면, 불 이펙트를 자식 0번째 객체로 넣어줍니다. )  아래 스크립트를 만들고 씬 오브젝트에 넣어줍니다.DisasterStart() 함수를 통해 무작위로 특정 건물을 지정해 불을 발생합니다. 해당 불은 모든 건물을 태울 때까지 멈추지 않습니다.Reset() 함수를 통해 모든 값을 초기화 후 해당 화재.. 2023. 8. 23.
[Unity/Zepeto] 싱글톤 만들기 프로젝트를 구현하다보면 scene 에 하나밖에 존재하지 않지만 여기저기 많이 쓰이는 class 들이 있습니다. 해당 class의 변수나 함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통 Gameobject.Find 하거나 태그를 찾거나 직접 public 로 넣거나 하는데 이런 방법들은 종종 제대로 못 읽어서 오류가 나거나 비효율적이라고 합니다. 보통 게임에서 위와 같은 class 들을 싱글톤으로 만들어서 처리해준다고 합니다. 1. 싱글톤 만드는 방법 export default class AttachObject extends ZepetoScriptBehaviour { private static Instance : AttachObject; public static GetInstance() : AttachObject{ if(!A.. 2023. 7.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