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알고리즘39 [알고리즘/백준] 2777번 숫자 놀이 Python 파이썬 한동안 취직 관련 과제 전형하느라 좀 쉬다가 다시 공부시작하네요. 이번 문제는 꼬아놓은 부분이 있어서 생각을 해야하는 문제였습니다. 해당 문제 풀면서 중요하게 봐야하는 점은 1. 각 자릿수를 곱하면 정수 N 이 되어야한다는 것 2. 가장 작은 정수 X가 몇 자리 수인지 출력해야한다는 점입니다. 각 자릿수를 곱한다는 이야기는 한 자리 숫자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고로 2~9 사이 숫자로 구성되어야합니다. 11이나 13 이런 숫자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장 작은 정수의 몇 자리 수인가 이는 한자리 최대값을 찾아줘야합니다. 결국 생각해보면 22225 라고 할때 85로 바꿔줘야한다는 소리입니다. 33이면 9로 바꾸듯이! 그래서 2~9 사이 나눠지는 값을 찾을때 2부터 순서대로 찾는 것이 아닌 9부터 찾게 되.. 2023. 3. 4. [알고리즘/백준] 2621번 카드게임 Python 파이썬 이번 문제는 로직은 간단하지만 조건이 복잡해서 오래 걸린 문제이다. 사실 보자마자 건너뛰고 싶었으나.... 순차적으로 풀어야 의미가 있기에 눈물 머금고 했다. 해당 문제는 복잡하게 짜면 코드 줄이 엄청나게 늘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최대한 딕셔너리, 리스트, 함수, 인덱스 등 활용해서 풀었다. 숫자를 표시해주는 딕셔너리 / 각 n 번째 숫자에 카드의 갯수를 확인해주는 리스트 하나, 그냥 숫자 담긴 리스트 하나를 만들어서 풀어주었다. 다음과 같은 코드를 통해 통과하였습니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cards_num = [ 0 for i in range(10)] cards_real_num = [ 0 for i in range(5)] cards_color = {'.. 2023. 2. 26. [알고리즘/백준] 1063번 킹 Python 파이썬 해당 문제는 문제를 제대로 이해 못하고 엉뚱한 부분에서 막혀서 시간을 많이 소비했다ㅠㅠ 해당 문제를 풀 때 주의해야하는 점은 1. 돌이 킹이랑 매번 같이 움직이는 게 아닌 킹이 돌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같이 이동해준다는 점 2. 만약에 움직였을 때 킹이 체스 판을 안나가고 돌만 나갈 경우 킹은 움직여줘야 한다는 점 이 두가지만 잘 이해해서 풀면된다. 그리고 막힌 에러 코드 부분은 move = input() x,y = move_pos(move) 에서 typeerror: cannot unpack non-iterable nonetype object 에러가 떴는데 move = list(map(str,input().split())) x,y = move_pos(move[0]) 으로 수정해서 에러를 고칠 수 있었다.. 2023. 2. 26. [알고리즘/백준] 2578번 빙고 Python 파이썬 이 문제는 복잡해보이지만 쉽게 생각하면 어렵지 않은 문제이다. 몇번째 빙고가 되는지 출력해주는 문제로 빙고판과 사회자가 부르는 숫자가 주어진다. 처음에는 어렵다고 생각했다. 어떻게 빙고가 되었는지 확인해주지 BFS 써야하나 싶었는데 이건 빙고판 사이즈가 정해지지 않을 때 이야기고 해당 문제는 빙고판 사이즈가 정해져있기 때문에 5X5 빙고판 생각해서 상수로 검사해주면 싶게 풀린다. 다음과 같은 코드를 통해 통과하였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my_bingo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5)] call_num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5)].. 2023. 2. 23. 이전 1 ··· 4 5 6 7 8 9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