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0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log 찍기 & 중간에 값 확인하기 개발하다 보면 과연 내가 원하는 변수가 제대로 값이 들어있는지 가지고 있는지 궁금할 때가 있을 겁니다. 그럴 때 확인하기 흔히 쓰는 방법이 log 인데요. 평소 유니티에서 Dubeg.Log(원하는 출력 값/변수) 를 썼다면 과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는 어떻게 알 수 있을 지 기록하고자 합니다. 1) Logcat을 이용한 확인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왼쪽 하단에 보시면 Logcat, build, terminal ... 등등 있습니다. 여기서 첫 번째 logcat에 들어가줍니다. log cat이란 로그를 보는 창으로 로그란 앱 실행 중 특정 시점의 기록을 의미합니다. 앱을 실행시키면 무수히 많은 기록들이 logcat에 써집니다. 2. Log ~ 위에서 logcat에 뜨는 메세지를 직접 찍어내기 위해서 필요한 .. 2020. 9. 3. [unity] sound project - 8 days -> 각도 별로 자연스럽게 소리의 움직임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음. 소리 1(일정한 삐 소리 음)을 가지고 뽑아낸 소리 색깔 지도 소리 1 색깔 지도를 소리 2(캐논)에다가 적용하여 player(listener / 듣는 사람) 위치에 따라서 기존의 소리 1 색깔 지도 및 측정 값을 따와서 소리 2 크기 제어 영상 -> 소리 2(캐논)가 위치와 해당 위치 색깔에 따른 소리 크기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음. 즉 색깔로 소리 제어 가능 1) 새로운 노래 적용 – canon (sound1만 적용) 첫 번째 사진 : So.. 2020. 8. 23. [unity] sound project - 7 days 기존의 소리를 측정하는 방식에 있어 소리가 끊겨 들리는 현상 발생. 실제로 끊기는 것인지 측정하는 것이라 끊기는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각각 테스트 결과 : 1번째 사진 : Sound 1에 대한 소리 측정 2번째 사진 : 위치와 소리 감소까지 다 계산 한 Sound 2에 대한 소리 측정 3번째 사진 :위치 및 소리 감소까지 다 계산하여 벽 안 쪽(Sound 1)과 바깥 쪽(Sound 2)을 따로 계산한 소리 측정 Sound Check 방식 : Player의 좌표와 장애물의 좌표를 가져와서 Z축 기준으로 player z 좌표 < 장애물 z 좌표 이면 왼쪽에 위치해져있다고 판단하여 Sound 1 을 키고 Sound 2 를 끔. 반대로, player.. 2020. 8. 3. [unity] sound project - 6 days 한번 간략한 설명 사진 : 현재 진행 단계 : Player에 있는 Listener Componet를 이용하여 소리 측정. 이때 가정 1. 원본 소리인 Sound 1만 재생 / 가정 2. 사본 소리인 Sound 2만 재생 / 가정 3. 원본, 사본 소리 동시에 적용하여 아래 plane에 그라데이션으로 색깔 표시해주는데 붉은 색에 가까울수록 소리가 크게 파란 색에 가까울 수록 소리가 작게 들린다고 설정. 전 low color map 결과 결과 : 1번째 사진 : Sound 1에 대한 소리 측정 2번째 사진 : 위치에 대한 계산만 한 Sound 2에 대한 소리 측정 3번째 사진 :위치 및 소리 감소까지 다 계산하여 벽 안 쪽(Sound 1)과 바깥 쪽(Sound 2)을 따로 계산한 소리 측정 수정한 후 low.. 2020. 8. 3.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76 다음 반응형